전자화폐
화폐는 물건을 사고 파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가치(value)를 갖음. 전자화폐는 컴퓨터에 저장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암호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실생활에 사용되는 현금과 같은 가치를 갖는 데이터임
- 단말기나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인식할 수 있음
- 인터넷을 이용하여 주고받을 수 있고, 전자집적 회로(IC칩)가 내장된 카드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
- 화폐가치가 있는 디지털 데이터(파일)이며, 소프트웨어(프로그램)로 제어함
- 사용이 편리하고 안전성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 완전한 익명성을 보장하면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 또한 높음
전자화폐 요구사항
1. 실물 화폐(현금) 기능을 가져야 함. 현금을 사용하면 익명성을 보장받는것과 같은 원리
2. 암호학적인 속성으로 정의됨 (익명성 보장, 이중사용 문제를 해결하려면 암호학적으로 해결해야함)
3 사용자 신원 정보, 계좌 정보, 금액 정보가 은닉되어야함
4 은행의 전자서명으로 디지털 데이터에 화페 가치를 갖게함
- 전자서명 기술 (Digital Signature) : 은행이 A에게 전자화폐에 대한 서명을 하면, 서명된 전자화폐는 은행이 A에게 서명
해준것을 모두가 알게되기 때문에 익명성이 보장되지 않음. 그렇기 때문에
은닉서명 기술 사용.
- 은닉서명 기술 (Blind Signature) : 은행은 A가 요청한 1000원에 데이터에 서명을 해야하는데 보지않고 서명하는 것.
은행은 1000원에 대한 데이터에 보지않고 서명을 하게 되는데, 1000원에 서명하는
것인지 10000원에 서명하는 것인지 모름. 그렇게 때문에 영지식 증명기법이 필요.
영지식 증명 기법 (Zero - Knowledge Proof)
서명하려는 데이터안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보이지 않지만 데이터안에 1000원이라는 값이 들어있다라는 것을 99.99%
확신을 갖게 하는 방법.
은닉서명 기술을 이용할시 영지식 증명 프로토콜이 같이 사용되게 됨.
- Digital Cash : E-Cash, NetCash 등
5. 독립적인 신용 구조를 가짐
- 제 3 기관으로부터 거래 승인이 필요 없음
신용카드 같은경우 신용카드회사의 승인을 받아야만 거래가 이루어지지만, 현금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기때문에 은행
의 개입없이 돈을 주고받을 수 있음.
6. 사용자간의 가치 이전, 화폐 분할
- 사용자간의 가치 이전 : 돈을 주고받을수 있어야함
- 화폐 분할 : 1000원이라는 전자화폐가 있을 때 100원 10개 혹은 500원 2개로 나누어서 사용할 수 있어야함.
즉, 전자화폐 생성에 사용되는 암호 기법은 전자서명, 은닉서명, 영지식 증명 기법이 복합적으로 적용이되며
독립적인 신용 구조를 갖어야 함.
전자화폐 문제점
1. 익명성 보장
- 익명성이 보장되어야만 화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범죄에 이용 가능하다는 가장 치명적인 단점이 있음
2. 현금 흐름 제어
- 양도 가능
- 현재 화폐와의 호환성을 보증하지 않으면 거시 경제에 혼란을 줄 수 있음.
3. 운용 주체
- 전자화폐 도입을 위한 운용 비용
- 운용 주체 선정
결제대금 지불시점 분류
전자지불 시스템은 결제 대금을 언제 지불하느냐에 따라서, 후불형과 선불형 시스템으로 구분됨
1. 후불형
- 거래가 이루어지고 난 후 또는 거래 시점에서 은행 계좌로부터 인출
- 신용카드나 수표에 의한 결제
- VISA, Master 카드사가 공등으로 개발한 SET
- 후불형의 대표적인 수단은 신용카드, SET가 있음
2. 선불형
- 거래가 이루어지기 전 단계에서 미리 은행 계좌에서 인출
- 거래가 이루어졌을 때 지불
- 전자 지갑 형
- 선불형의 대표적인 수단은 T-Money, 하이패스와 같이 충전식 카드를 의미
적용영역에 따른 분류
전자지불 시스템을 이용하는 거래 주체에 따라서, B2B, B2C, C2C 모델로 구분할수 있음
1. 고액 지불
- 기업간 거래(B2B : Business to Business)
- 기업간 거래로 물류, 조달 등에 사용되는 EDI가 대표적
2. 중액 지불
- 기업과 개인 (B2C : Business to Customer)
-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로 인터넷 쇼핑몰과 같은 형태
3. 소액 지불
- 개인과 개인 (C2C : Customer to Customer)
- 소비자간 거래로 중고장터, 벼룩시장, 당근마켓 같은 비즈니스 모델임
유통형태에 따른 분류
유통형태에 따라서 폐쇄형과 개방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
1. 폐쇄형 (Closed)
- 이용자가 상점에서 전자 현금 이용 후, 사용된 전자 현금이 즉시 발행처로 돌아가서 이중 사용 여부를 검증하는 모델
- 전자화폐의 흐름은 한 방향이며 이용자와 상점은 기능적으로 다름
2. 개방형 (Opened)
- 실제 현금과 같이 양도가 가능한 모델로 일정한 보안 수준을 구축하기 어려움
- 가치가 이용자로부터 다른 이용자에게 유통되는 형태
- 일정한 보안 수준을 구축하기 어려 움
- 일반 이용자와 상점간 기능적 차이가 없음
- 상점도 하나의 이용자가 될 수 있음
'Cyrpto > ECSE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상거래] 전자화폐 요구사항 (0) | 2021.12.17 |
---|---|
[전자상거래] SET 프로토콜 (0) | 2021.12.06 |
[전자상거래] 신용카드 기반 전자 지불 시스템 (0) | 2021.12.01 |
[전자상거래] S/MIME (0) | 2021.12.01 |
[전자상거래] PGP - 키 링 (0) | 2021.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