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oS (Quality of Service )
네트워크에서의 품질(Quality)는 보통 데이터를 어느 정도로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지를 의미함. 전송 과정에서의 데이터 분실, 전송 지연, 지연값의 일관성(지터) 등을 기준으로 전송 품질을 판단할 수 있음.
QoS 개요
인터넷 환경에서 전송 서비스 무넺를 다루는 QoS는 중요한 고려 대상 중 하나임. 전송 서비스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기준은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하지만 대부분 QoS로 정의할 수 있음. QoS 기준은 보통 연결형 서비스를 위한 것이지만, 비연결형 서비스에도 부분적으로 적용됨.
QoS는 주로 전송 계층 사용자가 요청하므로 전송 계층 연결을 설정할 때 필요한 서비스의 정도를 매개변수로 표시함.
QoS 서비스를 지원하려면 전송 계층에 해당 기능을 구현해야 하는데, 하위의 네트워크 계층이 기능의 일부를 수행할 수 있으면 전송 계층의 역할이 그만큼 줄어듬.
QoS 매개변수
1. 연결 설정 지연 (Connection Establishment Delay)
- 연결 설정을 위한 request 프리미티브 발생과 confirm 프리미티브 도착 사이의 경과시간. 연결 해제 요구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음.
2. 연결 설정 실패 확률 (Connection Establishment Failure Probability)
- 임의의 최대 연결 설정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연결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을 확률. 연결 해제 요구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할 수 있음.
3. 전송률 (Throughput)
- 임의의 시간 구간에서 초당 전송할 수 있는 바이트 수(대역폭)이다. 전송률은 양방향 값이 다를 수 있으므로, 별개로 다
루어져야 함.
4. 전송 지연 (Transit Delay)
-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수신 호스트에 도착할 때까지 경과한 시간. 전송률처럼 양방향이 따로 다루어짐.
5. 전송 오류율 (Residual Error Rate)
- 임의의 시간 구간에서 전송된 총 데이터 수와 오류 발생 데이터 수의 비율.
6. 우선순위 (Priority)
- 다른 연결보다 먼저 처리함을 의미. 우선순위가 높은 연결이 우선순위가 낮은 연결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받음.
인터넷에서의 QoS
IP 프로토콜은 원칙적으로 모든 패킷에 대해 동일한 기준을 적용해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중개함. 데이터의 도착 순서나 데이터의 100% 수신 등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버퍼를 사용해 이 문제를 해결한 후에 응용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해야 함. IP 프로토콜을 이용해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약간의 시간을 미리 확보해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 따라서 첫 번째 데이터가 응용 환경에 전달되는 시점은 전송 지연시간보다 더 늦어짐.
IP 프로토콜
- 모든 패킷에 동일한 기준을 적용
- 데이터 도착 순서나 100% 수신을 보장하지는 않음.
- 특정 패킷의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기능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든 패킷을 동일한 기준으로 처리한다는 단점이 있음.
전송 데이터의 종류별 특징
영상 정보 : 대용량의 실시간 전송, 전송 오류에 관대
컴퓨터 데이터 : 실시간 전송 불필요, 전송 오류에 민감함
'Network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오류 제어 (0) | 2021.11.08 |
---|---|
[Network] 데이터 전송 방식 (0) | 2021.11.07 |
[Network] 인터네트워킹 (0) | 2021.11.07 |
[Network] LAN, MAN, WAN (0) | 2021.11.06 |
[Network] 교환 시스템 (0) | 2021.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