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 버스
- IEEE 802.3 표준안(CSMA/CD)는 네트워크 트래픽이 심할 때 특정 호스트가 오랫동안 프레임을 전송하지 못할 우려와
프레임의 우선순위가 규정되어 있지 않아 프레임의 중요도를 표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음.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호스트 순서를 정해 차례로 프레임을 전송하는 기능이 필요해, 링 구조의 통신망을 덧
붙여 문제점을 극복.
이더넷의 구조와 차이점을 보기위해 이더넷의 구조를 알 필요 O.
https://revi1337.tistory.com/90
[Network] 이더넷 (Ethernet)
이더넷 (Ethernet) - IEEE 802.3 는 LAN환경의 MAC계층 가운데 CSMA/CD에 대해 규정한 표준안. - 이더넷은 원래 IEEE 802.3 표준안을 실제로 구현한 제품이지만, 현재는 더 일반화된 용어로 사용됨. 이더넷과
revi1337.tistory.com
프레임 구조
- 물리적으로는 공유버스 형태로 연결되어있지만 논리적으로는 링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
- LLC 계층에서 내려온 LLC 프레임을 수신 호스트에 전달하려면 토큰 버스 프레임을 만들어야 함
토큰 버스 프레임의 구조
- 토큰 버스니까 토큰 정보가 필요함.
- 이더넷프레임과 동일하게 Preamble과 Start Delimiter가 있는 반면 이더넷의 Length/Type필드가 빠지고 Frame
Control 필드가 추가됨.
- 또한, 이더넷에서는 Checksum에서 프레임이 끝났지만, 토큰 버스 프레임에서는 End Delimiter 필드가 추가됨으로 프
레임이 끝나는 지점의 차이가 있음.
- 마지막으로 LLC의 헤더와 데이터가 담기는 Data영역의 길이가 8182바이트까지 지원되어 이더넷보다 길이가 더 긴 것
을 확인할 수 있음.
헤더와 트레일러에 정의된 필드의 기능
Start Delimiter / End Delimiter (시작 구분자 / 끝 구분자)
- 프레임의 시작과 끝을 의미하는 경계를 표시
Preamble/Source Address/Destination Address/Checksum (프리엠블 / 송신 호스트 주소 / 수신 호스트 주소 / 체크섬)
- 이더넷 프레임과 기능이 동일
Frame Control (프레임 제어)
- 데이터 프레임과 제어 프레임을 구분
- 제어 프레임은 토큰전달과 링관리를 위해 사용
- 데이터 프레임은 데이터를 전달할때 사용하며 데이터프레임의 우선순위와 수신 호스트의 응답 확인 시 사용
LLC 프레임 캡슐화
- LLC 프레임의 좌우에 토큰 버스 프레임의 헤더와 트레일러 정보가 채워지면 물리 계층이 수신 호스트로 전송
- 수신 호스트의 MAC계층은 토큰 버스 프레임의 헤더와 트레일러 정보를 뗴어내고, 상위 계층인 LLC 프로토콜에서는
LLC 프레임 정보만 올림
'Network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의 기초 (0) | 2021.11.18 |
---|---|
[Network] 토큰 링 (Token Ring) (0) | 2021.11.17 |
[Network] 이더넷 (Ethernet) (0) | 2021.11.17 |
[Network] MAC계층과 IEEE 802 (0) | 2021.11.08 |
[Network] 다항 코드 (0) | 2021.11.08 |